분류 전체보기 1151

오탁번 "저녁연기" (중국어 영어 번역)

吳鐸藩(1943-2023) 〈傍晚炊煙〉 都沒意識到夕陽西下,一直玩耍在原野裏 我的影子跌倒在那兒,細細長長拉得荒謬 我突然被它嚇到時 舉頭一望就看得到的 像母親手勢般的炊煙。 從村子裏不甚高的 煙囪中冒上來 不往天上遠遠飛去 而只升上到棗樹杏樹 樹頂那麼高 就向四方散開 尋找連晚飯時間都忘掉的我 越過田埂田壟吹來 傳達我母親的擔憂的 就是那傍晚炊煙了。 (半賓譯) O Tak-bōn (1943-2023) "Smoke of Cooking Dinner" Frolicking in the fields, not being aware of the sun setting, And startled by my own shadow, Toppled over right there, stretched absurdly long, I could see, just by..

이석형,"바둑 圍棋"

李石亨(字伯玉,號樗軒,1415-1477) 〈圍棋〉 幸是公餘暫得閑, 却思棋局足交懽。 機心萬變須臾裏, 險路千回尺寸間。 危似楚兵臨漢塹, 急如齊客度秦關。 直須快決雌雄耳, 枉過高軒拭目看。 이석형 (자는 백옥, 호는 저헌, 1415-1477) "바둑" 바쁜 일정 가운데 다행스럽게도 잠시 한가한 시간을 얻으면 물러앉아 생각하며 두는 바둑 한 판으로 즐거움을 나누기 충분합니다 약삭빠른 마음이 한 순간에 만 번도 바뀌고 험한 길은 지척의 거리에서도 천 구비를 돕니다 아슬아슬함이 초나라 군인들이 한나라 성 해자에 다가오는 듯하고 다급함은 제나라 사람이 진나라 관문을 통과할 때 같습니다 얼른 누가 센지 결정해야 할 따름이지만 널찍한 저택을 두루 돌아가면서는 눈을 비비고 꼼꼼히 들여다 봅니다 (반빈 역) Yi Sōk-hyōn..

이석형,"마음을 풀어냅니다 咏懷"

李石亨(字伯玉,號樗軒,1415-1477) 〈咏懷〉 虞時二女竹,秦日大夫松。 縱有榮枯異,寧為冷熱容。 이석형 (자는 백옥, 호는 저헌, 1415-1477) "마음을 풀어냅니다" 순임금 때 두 왕비의 눈물이 어린 대나무도 있고 진나라 시절 대부가 된 소나무도 있지요 성하고 쇠하는 게 다르다고 해도 찬 것 뜨거운 것을 모두 받아들입니다 주: 첫 구절은 순임금이 죽고 두 왕비가 흘린 눈을 자국이 남았다는 대나무를 이르고, 둘째 구절은 진시황이 태산에서 내려왔을 때 밀어닥친 폭풍우를 그 아래서 피했다 하여 대부의 지위에 오른 소나무 다섯 그루를 말합니다. (반빈 역) Yi Sōk-hyōng (1415-1477) "Singing Thoughts in My Heart" Bamboo trees stained by tear..

"이태백 '조용한 밤의 생각靜夜思'의 운을 따라 깊이 취하고 싶다고 노래합니다 次韻李白靜夜思謌欲沈醉"

半賓 〈次韻李白靜夜思謌欲沈醉〉 遙遠向孤光,淒清起履霜。 時從心所欲,沈醉便懷鄉。 (甲辰雨水前數日) 반빈 "이태백 '조용한 밤의 생각靜夜思'의 운을 따라 깊이 취하고 싶다고 노래합니다" 저 멀리서 홀로 내려 비치는 달빛을 향해 쓸쓸히 일어서 서리를 밟으며 걷습니다 때로는 마음이 가는 곳을 따라서 깊이 취해 고향을 생각하고 싶습니다 (갑진년 우수 며칠 전에) H. Rhew "Singing the Wishes of Getting Deeply Drunk, Following the Rhyming of Li Bai's 'Thoughts in a Quiet Night'" Toward the moon shining alone from far away, I rise desolately and walk treading the..

시선(詩選) 2024.03.27

이성부 "봄" (중국어 영어 번역)

李盛夫(1942-2012) 〈春〉 不等待你還是來 連要等待的念頭也失去了,你還是來。 在泥灘一隅 或者在污水窪子邊磨蹭 這兒打一下野眼,那兒打一次架 累了躺下呆會兒 持著緊急情由的風跑去 把你搖了醒來 你就揉著眼睛遲遲而來。 遲遲頓頓,可是當來的終於來。 看你就太耀眼 我無法起來迎接你。 我要開口呼喊,可是聲音僵硬了 什麼也不能告知。 我好不容易展開雙臂試試抱住的 你,這在遠方贏了回來的人啊。 (半賓譯) Yi Sōng-bu (1942-2012) "Spring" You come, even if I do not wait for you. When even the thought itself of waiting is lost, you still come. You snoop around a corner of mudflats, Or places like..

김식,"높은 다리 마을 – 오희안이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高梯院 - 聞吳希顏被拿"

金湜(字老泉,號沙西,東泉,淨友堂,1482-1520) 〈高梯院 - 聞吳希顏被拿〉 日暮天含黑,山空寺入雲。 君臣千載義,何處有孤墳。 注:己卯士禍中流配於善山,又牽連於接起之辛巳誣獄,詩人聞將被移配至絕海孤島後就自決。或謂此作為絕命詩。吳希顏為詩人之門人。高梯院詩人聽吳希顏被捕後逃去之處,位於慶尚南道居昌。 김식 (자는 노천, 호는 사서, 동천, 정우당, 1482-1520) "높은 다리 마을 – 오희안이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해는 져서 하늘이 어두움을 머금고 텅 빈 산 속 절은 구름에 묻혔습니다 임금과 신하 사이 의로움이 천 년을 가야 하는데 외로운 무덤은 어디에 모셨을까요 주: 시인은 기묘사화 때 선산으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 때에 외딴 섬으로 유배지가 옮겨질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자결했습니다. 이 시가 죽기 바로 전 결심..

이종준,"추강 남효온을 보내며 送南秋江"

李宗準(字仲鈞,號慵齋,略1458 - 1499) 〈送南秋江〉 十年山海客,誰識讀春秋。 一掬零陵淚,三更杜宇樓。 注:南孝溫(字伯恭,號秋江、杏雨、最樂堂、碧沙,1454-1492)。對首陽大君(後日世祖)篡奪端宗王位持批評意見之所謂〈生六臣〉之一。杜宇樓,即子規樓,位於端宗謫居之地。 이종준 (자는 중균, 호는 용재, 1458전후-1499) "추강 남효온을 보내며" 십 년을 산으로 바다로 떠돌며 사시니 누가 알까요, 춘추를 공부하셨고 한 움큼 눈물 무덤가에 흘리시고 한밤중 소쩍새 누각에 계시는 것을 주: 남효온 (자는 백공, 호는 추강, 행우, 최락당, 벽사, 1454-1492)은 후일 세조가 되는 수양대군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함에 비판적이었던 소위 "생육신"의 한 분입니다. 소쩍새 누각으로 옮긴 두우루(杜宇樓)는 자귀루(子規樓..

이성선 "침묵이 따뜻하다" (중국어 영어 번역)

李聖善(1941-2001) 〈暖和的是沈默〉 月亮擁抱著 孤單單站在空山上的樹 啊 暖和的是沈默 什麼也看不見的 冬天天上 周圍的 水聲啊,虛空啊 都去哪兒了 (半賓譯) Yi Sōng-sōn (1941-2001) "Balmy Is Silence" The moon hugs the tree, Standing alone on the empty mountain. Ah! Balmy is silence. The winter sky Without anything in it to be seen. The sound of the water, the vacuous space, Those which should be nearby, Where have they all gone? (H. Rhew, tr.) 韓文原文: 이성선 (1941-2001..

이성선 "나 없는 세상" (중국어 영어 번역)

李聖善(1941-2001) 〈我不在的世界〉 我死 從這個世界上消失了 在那水裏 山影是仍舊會自個兒浮上來的 (半賓譯) Yi Sōng-sōn (1941-2001) "The World Without Me" When I die And disappear from this world, In that water will be The reflection of the mountain afloat by itself as always. (H. Rhew, tr.) 韓文原文: ​ ​이성선(1941-2001) ​ "나 없는 세상" ​ 나 죽어 이 세상에서 사라진다 해도 ​ 저 물 속에는 산그림자 여전히 혼자 뜰 것이다 ​ ​시집 《산시 山詩》(1999)

허종,"산 속의 사람 山中人"

許琮(字宗卿,又字宗之,號尚友堂,1434-1494) 〈山中人〉 朝從山中起,暮向山中宿。 山中有何事,修籠養白鶴。 허종 (자는 종경, 종지, 호는 상우당, 1434-1494) "산 속의 사람" 아침이면 산 속에서 일어나고 저녁이 되면 산 속으로 돌아가 지냅니다 산 속에 무슨 일이 있기에 새장을 만들어 흰 학을 기르고 있을까요 (반빈 역) Hō Jong (1434-1494) "A Man in the Mountain" I rise in the mountain in the morning. I go to the mountain to stay in the evening. What is going on in the mountain, To make a cage to nurture a white crane? (H. Rh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