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한시선(韓國漢詩選) 361

심언광,"'아이를 여의고 아파합니다'의 운을 따라 또 짓습니다 又用前(悼亡兒)韻" 두 수의 첫째

沈彥光(字士炯,號漁村,1487-1540) 〈又用前(悼亡兒)韻〉二首之一 貴非偏重賤非輕,血屬慈天一樣平。手弄紡塼傷往迹,環探樹穴認前生。新安幾迸潘郎涕,嬴博誰憐季子情。向夜百憂長耿耿,坐憑烏案到三更。                注:頸聯所用二典,皆為葬子之事。嬴與博為春秋時齊國二邑,吳季札葬子於其間,後用之為死葬異鄉之謂。五句用潘岳〈傷弱子辭〉:「壬寅次於新安之千秋亭,甲辰而弱子夭。越翼日乙巳,瘞於亭東,感嬴博之哀。」 심언광 (자는 사형, 호는 어촌, 1487-1540) "'아이를 여의고 아파합니다'의 운을 따라 또 짓습니다" 두 수의 첫째 귀하다고 해서 더 무겁지 않고      천하다고 가벼운 건 아닙니다같은 핏줄은 자비로운 하늘에서      똑 같이 평등합니다 물레가락을 손에 들고는      지난 날의 흔적에 아파하고나무 구멍을 둘러..

심언광,"봄날에 홀로 앉아 春晝獨坐" 두 수의 둘째

沈彥光(字士炯,號漁村,1487-1540) 〈春晝獨坐〉二首之二 紛紛輕薄不堪論,世事將談却自吞。交態由來隨貴賤,翟公辛苦浪書門。                注:翟公事,請看二首之一之注。 심언광 (자는 사형, 호는 어촌, 1487-1540) "봄날에 홀로 앉아" 두 수의 둘째 떠들썩하면서 경박한 것을      차마 논의할 수 없어서세상 일을 이야기 하려다      스스로 삼키고 맙니다사람들이 서로 오고 가는 게 원래      신분의 높고 낮음을 따른다지만적공이 맛본 맵고 쓰디쓴 맛이      책 읽는 사람들의 세상에 출렁입니다            주: 적공의 전고는 앞에 두 수의 첫째 시에 붙인 주를 참조하십시오.(반빈 역) Shim Ōn-gwang (1487-1540) "Sitting Alone on a Sprin..

심언광,"아이를 여의고 아파합니다 悼亡兒" 두 수의 둘째

沈彥光(字士炯,號漁村,1487-1540) 〈悼亡兒〉二首之二 隨事安排是士常,如何憂惱自難忘。半生未免栽秧積,一塊頻教骨肉亡。恩愛極知同利刃,老衰偏覺割剛腸。向來顏面收紅藻,空把青銅照雪霜。 심언광 (자는 사형, 호는 어촌, 1487-1540) "아이를 여의고 아파합니다" 두 수의 둘째 사안에 따라 조치를 하는 것은      사대부가 늘 하는 일인데어찌해서 이 근심과 걱정은      스스로 잊기 어려운 건가요 삶의 반 동안은 어쩔 수 없이      모를 심고 또 심어야 하는데;한 포기 한 포기가 자꾸      잃어버린 피붙이를 떠올립니다 사랑과 은혜가      똑 같이 나누는 칼날임을 잘 알지만;늙고 시들어 가니      어쩔 수 없이 질긴 창자를 베는 느낌입니다 오래 전부터 얼굴이      발그레한 빛이어서공연히 구리..

심언광,"봄날에 홀로 앉아 春晝獨坐" 두 수의 첫째

沈彥光(字士炯,號漁村,1487-1540) 〈春晝獨坐〉二首之一 炙背春陽盡日暄,雀羅長設翟公門。何人不負楊臨賀,獨有徐君古意存。        注:二句用〈翟公之門〉事。翟公為廷尉,賓客闐門,及廢,門前無人跡,可設雀羅。(《史記·汲鄭列傳太史公論》)末二句用唐楊憑貶臨賀尉事。因懼牽連交親無敢相送,唯徐晦送至藍田,與憑言別,因得〈不顧犯難,肯負國乎〉之名聲。(《舊唐書165》) 심언광 (자는 사형, 호는 어촌, 1487-1540) "봄날에 홀로 앉아" 두 수의 첫째 등을 덥히는 봄날의 햇볕이      하루 종일 따듯한데꿩 잡는 그물이 늘 쳐 있는      힘 빠진 적공의 문처럼 오가는 사람이 없습니다누가 임하의 양빙에게      등을 돌리지 않을까요오직 서씨가 있으면      옛 뜻이 지켜 지겠지요      주: 둘째 행은 적공이 벼슬을 할..

이제신,"개 돼지들이 몰려왔을 때, 승지 중익과 사치, 태경이 안부를 물었습니다. 자진과 대중등 궁궐 대신들에게도 함께 감사를 전합니다 豚犬之來,承旨仲益,士稚,鮐卿送問。兼謝子進,大仲諸內相。"

李濟臣(字夢應,號清江,1536-1583) 〈豚犬之來,承旨仲益,士稚,鮐卿送問。兼謝子進,大仲諸內相。〉 多謝諸公訊死生,龍文餘彩爛縱橫。城頭擊柝弓刀冷,閣下承綸日月明。形影縱分千里迹,肝腸不隔寸心誠。只應毛髮渾邊雪,親故如能記舊聲。                注:詩人任咸鏡道兵馬節度使之職時,女真族尼湯介襲擊陷落慶源府,詩人負敗戰之責,被流配至麟山鎮。詩似乎說其事。 이제신 (자는 몽응, 호는 청강, 1536-1583) "개 돼지들이 몰려왔을 때, 승지 중익과 사치, 태경이 안부를 물었습니다. 자진과 대중등 궁궐 대신들에게도 함께 감사를 전합니다" 살았는지 죽었는지를 물어준      여러 대감들께 감사드립니다힘있는 글씨가 남기는 빛이      가로로 세로로 번쩍거립니다 성곽 꼭대기 순라군 딱따기 소리가      활처럼 칼처럼 차갑고;..

심언광,"아이를 여의고 아파합니다 悼亡兒" 두 수의 첫째

沈彥光(字士炯,號漁村,1487-1540) 〈悼亡兒〉二首之一 骨肉何曾有輕重,鳲鳩哺子最均平。聊將草木觀榮悴,尚把蜉蝣歎死生。已擬安仁悲瘞夭,還如夷甫解鍾情。強懷欲勉延吳事,二十年前亦飽更。                注:五句用〈潘岳瘞夭〉事。晉潘岳(字安仁,247-300)《西征賦》談及其子夭亡,曰:「夭赤子於新安,坎路側而瘞之。亭有千秋之號,子無七旬之期。」六句用〈王夷甫識石勒〉事。晉王衍(字夷甫,256-311)有識鑑,見石勒異之,謂將為天下患。是時,勒年僅十四。七句〈延吳〉並稱春秋吳延陵季子與魏東門吳。兩人皆喪子而曠達無憂。 심언광 (자는 사형, 호는 어촌, 1487-1540) "아이를 여의고 아파합니다" 두 수의 첫째 피를 나눈 가족들 사이에 언제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하다는 구별이 있었습니까뻐꾸기가 새끼들 먹일 때도      가장 골..

심언광,"희끗희끗한 머리칼을 보고 놀라 한참을 한탄하다 마음을 풀어냅니다 遣懷:見二毛,驚歎良久" 두 수의 둘째

沈彥光(字士炯,號漁村,1487-1540) 〈遣懷:見二毛,驚歎良久〉二首之二 墮地為君子,春秋三十齡。世情人愧薄,公道月憐明。浪跡宜莊器,幽棲怕漏名。儒衣非異製,山鳥莫偏驚。 심언광 (자는 사형, 호는 어촌, 1487-1540) "희끗희끗한 머리칼을 보고 놀라 한참을 한탄하다 마음을 풀어냅니다" 두 수의 둘째 태어나면서부터 수양하는 사람이 되려 했고그렇게 봄과 가을이 서른 번씩 지났습니다 세상은 박한 사람을 부끄러워하고바른 길은 밝은 달을 어여삐 여깁니다 떠돌이의 발길은 장중한 그릇에 잘 담기고조용한 삶은 이름이 알려지는 것을 염려합니다 선비의 옷은 유별나게 짓지 않으니산새들아 제풀에 놀라지 말아다오(반빈 역) Shim Ōn-gwang (1487-1540) "Expressing My Thought, Startled b..

심언광,"희끗희끗한 머리칼을 보고 놀라 한참을 한탄하다 마음을 풀어냅니다 遣懷:見二毛,驚歎良久" 두 수의 첫째

沈彥光(字士炯,號漁村,1487-1540) 〈遣懷:見二毛,驚歎良久〉二首之一 吾年未三十,知復幾餘齡。短髮梳邊白,清霜鏡裏明。鼠肝羞富貴,牛後笑功名。潦倒心猶壯,聞鷄半夜驚。 심언광 (자는 사형, 호는 어촌, 1487-1540) "희끗희끗한 머리칼을 보고 놀라 한참을 한탄하다 마음을 풀어냅니다" 두 수의 첫째 내 나이 아직 서른이 되지 않았으니앞으로 살 날이 얼마 남았는지 알 수 있나요 빗 옆으로 짧아진 머리가 희고거울 속에 맑은 서리가 훤합니다 쥐의 간처럼 미천하면서 부귀를 부끄러워하고소 엉덩이 주제에 공명을 비웃습니다 답답하게도 마음이 아직 든든해서닭소리를 들으면 한 밤중에도 놀라 깹니다(반빈 역) Shim Ōn-gwang (1487-1540) "Expressing My Thought, Startled by a L..

이제신,"돌아갈 때를 마주하며 읊는 즉흥시 臨化口占"

李濟臣(字彥遇,號陶丘,1510-1582) 〈臨化口占〉 望野黃兼綠,看雲白又玄。陶翁知止處,只是為寒泉。                注:異於李濟臣(字夢應,號清江,1536-1583) 이제신 (자는 언우, 호는 도구, 1510-1582) "돌아갈 때를 마주하며 읊는 즉흥시" 들녘을 내다보니 노랑과 초록이 섞였고구름을 바라보니 희었다 검었다 합니다도자기 고개 이 늙은이가 멈춤을 알 곳은오직 땅속 깊숙이 흐르는 차디찬 샘 뿐입니다            주: 이 시를 쓴 도구 이제신은 같은 이름이며 거의 동시대를 산 청강 이제신 (1536-1583)과는 다른 사람입니다.(반빈 역) Yi Che-shin (1510-1582) "Improvising, Facing the Change in Form" Gazing far out..

김인후,"충암시집에 붙입니다 題冲菴詩卷"

金麟厚(字厚之,號河西,1510-1560) 〈題冲菴詩卷〉 來從何處來,去向何處去。去來無定蹤,悠悠百年許。         注:冲庵集,金淨(字元冲,號冲庵,1486-1521)所著。 김인후 (자는 후지, 호는 하서, 1510-1560) "충암시집에 붙입니다" 올 때는 어디서 오시고갈 때는 어디를 향해 가시는지정해진 발길이 없이 오고 가시며서두르지 않고 백 년을 지내셨겠습니다.       주: 충암집은 김정 (金淨, 자는 원충, 호는 충암, 1482-1521)의 문집입니다.(반빈 역) Kim Yin-hu (1510-1560) "Inscribed on the Collection of Ch'ung-am's Poetry" From which place you come when you come,Toward where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