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_admin/blogs/image/category/new_ico_5.gif)
許麒(號湖隱,14世紀) 〈拱北樓君臣相悅〉 觀風知偃草,憂國誡苞桑。會有河清日,君臣共一堂。 注:韓國稱作拱北樓之樓閣在數處。此詩題所指為清州拱北樓,已消失,其正確位置不得確知。現傳最早記錄是恭愍王11年(1361)事。避紅巾之亂,王蒙塵至安東,歸首都開京路上停留於清州五月餘,因推斷此詩作於清州拱北樓。首句用《論語·顏淵》:「君子之德風,小人之德草,草上之風,必偃。」二句用《周易》否卦九五:「大人吉,其亡其亡,繫於苞桑。」大人當耿耿思危,使國鞏固,即吉。 허기 (호는 호은, 14세기) "공북루에서 임금과 신하가 함께 기뻐합니다" 바람을 보면 풀이 눕는 것을 아시고나라 걱정을 뽕나무 뿌리에서 깨우치셨지요강물이 맑아지고 임금과 신하가함께 모일 날이 있을 것입니다 주: 우리나라에 공북루라고 불리는 누각은 몇 군데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