沈彥光(字士炯,號漁村,1487-1540) 〈悼亡兒〉二首之二 隨事安排是士常,如何憂惱自難忘。半生未免栽秧積,一塊頻教骨肉亡。恩愛極知同利刃,老衰偏覺割剛腸。向來顏面收紅藻,空把青銅照雪霜。 심언광 (자는 사형, 호는 어촌, 1487-1540) "아이를 여의고 아파합니다" 두 수의 둘째 사안에 따라 조치를 하는 것은 사대부가 늘 하는 일인데어찌해서 이 근심과 걱정은 스스로 잊기 어려운 건가요 삶의 반 동안은 어쩔 수 없이 모를 심고 또 심어야 하는데;한 포기 한 포기가 자꾸 잃어버린 피붙이를 떠올립니다 사랑과 은혜가 똑 같이 나누는 칼날임을 잘 알지만;늙고 시들어 가니 어쩔 수 없이 질긴 창자를 베는 느낌입니다 오래 전부터 얼굴이 발그레한 빛이어서공연히 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