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正喜
〈與客圍棋,雲句上人傍坐讀般若經五家解,頗為諸說所泥,以舊藏小本般若正文贈之,戲題。〉
冶誦圭論語語麁,
終然罔象得玄珠。
老夫一著元無著,
一任嗤他木野狐。
注:般若經五家解,似指《金剛經五家解》。冶父道川(南宋,生卒年不詳)之〈頌〉與圭峰宗密(780-841)之〈纂要〉為其五家之二。首句前四字,似指此二家,或由此二家指五家解。
此詩多用佛家與圍棋雙關之詩語。例如,玄珠指教義之真諦,但亦可讀為黑棋子。無著為指無所羈絆,無所執著之佛家與,但一著、無著之著,可讀為下棋子。野狐為禪宗譏刺妄稱開悟而入邪僻時所用之術語,但木野狐是棋盤、棋局之戲稱,言其媚惑人如狐也。
김정희
"손님과 바둑을 두는데 운구스님이 옆에 앉아서 반야경의 다섯 사람 해설본을 읽습니다. 여러가지 해설에 상당히 구애되기에 오래 전부터 소장한 작은 판본의 반야 본문을 드리고, 장난을 섞어 씁니다"
야보(冶父)선사의 노래와 규봉(圭峰)선사의 논의는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까칠하지만
물 도깨비라도
검은 구슬을 얻습니다
이 늙은이가 한 수를 두어도
사실은 둘 곳이 없다며
나무여우라고
멋대로 비웃습니다
주: 반야경 다섯 사람 해설본은 《금강경오가해 金剛經五家解》를 가리키는 듯합니다. 그 다섯 사람의 해설 중 둘이 야보도천(남송, 생몰연대미상)이 지은 노래(頌)와 규봉종밀(780-841)이 지은 찬요(纂要)입니다. 첫 구절의 앞 네 글자는 이 둘을 언급하는데, 이 둘을 통해 오가해 전체를 지칭한다고 보아도 좋겠습니다.
이 작품에는 불교용어, 또는 바둑에 관련된 어휘로 읽을 수 있는 두 가지 뜻의 시어가 많이 이용됩니다. 예를 들어, 둘째 행의 검은 구슬(玄珠)은 가르침의 참뜻이라는 불교용어이면서 검은 바둑돌로 읽을 수 있습니다. 세째 행에 두 번 나오는 착(著)은 바둑에서 착수하다, 바둑돌을 놓다는 뜻이지만 무착(無著)은 굴레도 집착도 없다는 불교용어입니다. 마지막 행의 야호(野狐)는 깨우침에 이른다고 하면서 그릇된 길로 들어가는 것을 비판하는 선종의 용어이지만, 바둑이나 바둑판을 장난스럽게 일러 나무여우(木野狐)라고 합니다. 바둑이 사람을 매혹하는 게 여우 같다는 뜻이겠습니다.
(반빈 역)
Kim Chong-hui
"When I played paduk-chess with a guest, Master Un-gu sat by the side and read the Prajna Sutra with Five Commentaries. He was rather stuck in multiple explanations, and so I presented him with a handy version of main-text-only Prajna Sutra, which I owned from long ago. I wrote this in jest."
Songs by Yefu and Discourses by Guifeng
Are prickly word after word,
But even a water goblin
Could obtain the black jewels.
This old man plays a stone,
But there was no place to play.
Whimsically I sneer at him
Of meditating like a wooden wild fox.
Note: The Prajna Sutra with Five Commentaries seems to refer to the Diamond Sutra with Five Commentaries. The "songs (頌)" by Yefu Daochuan (Southern Song, dates unknown) and the "concise discussion (纂要)" by Guifeng Zongmi (780-841) are two of those five commentaries. The first line refers to these two commentaries, or to the entire sutra with all commentaries through these two.
This poem uses many dictions of double meaning as Buddhist terminology and as paduk-chess vocabulary. For instance, the black jewel (xuanzhu 玄珠) in the second line means the true meaning of the Buddhist teachings and/or black chess stone. The word translated as "to play" in the third line means placing of a stone on the chess-board, but "no place to play (wuzhuo 無著)," can be read in Buddhist teaching as "free from clinging and fetters." "Wild fox (yehu 野狐)" in the last line is used in Chan-Buddhism for criticizing certain practices of meditation that falsely claim to lead to enlightenment. However, "wooden wild fox" is a quip for paduk-chess or the board used for the game, referring to the foxy charm of the game.
(H. Rhew, tr.)
'한국 한시선(韓國漢詩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유근,"복사꽃 숲" (0) | 2023.05.08 |
---|---|
김유근,"연경으로 가는 선비 이문철을 전송합니다" (0) | 2023.05.07 |
김유근,"참새" (0) | 2023.05.02 |
김정희,"승가사에서 동리와 함께 해붕스님을 만납니다" (0) | 2023.05.01 |
김정희,"물소리 숲 수성동에서 빗속에 폭포를 보며 ..." (0) | 202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