半賓 〈愚〉 自責自嘲間,不求不欲般。宋人余肯做,別讓始移山。 注:先秦故事成語中之傻子宋人偏多,如守株待兔、揠苗助長、智子疑鄰、狗猛酒酸等,皆為宋人之事也。三句用之。(二〇二五年愚人節前一日) 반빈 "바보스러움" 자책과 자조의 중간 어디쯤찾는 것도 바라는 것도 없는 듯바보 많다는 송나라 사람이 되라면 되지요그러나 산을 옮기기 시작하라고는 마세요 주: 세째 행은 중국 선진시대 바보스러운 사람들 중 유난히 송나라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이용합니다. 나무 그루터기에 부딪쳐 죽는 토끼를 얻은 후 농사는 짓지 않고 그루터기를 지킨다는 수주대토(守株待兔), 묘종이 빨리 자라라고 잡아당겨 준다는 알묘조장(揠苗助長), 허물어진 벽을 고치지 않으면 도둑인 든다는 말을 한 아들과 이웃이 모두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