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한시선(韓國漢詩選)

김정희,"시골에서 지내며 병이 심한데, 오직 유군 자네만..." 네 수의 둘째

반빈(半賓) 2023. 6. 1. 03:05

金正喜

 

〈村居病甚,惟柳生問疾而來,授方而效,其意可嘉,書贈如此,並屬其尊甫桐君。〉

 

二、

顛旭顛素皆肚疼,

千秋法墨艸書騰。

近因桶脫究新義,

絕斷衆流君更能。

 

            注:首句用張旭、懷素二人事,皆善草書。張旭酒醉以沾墨之頭髮揮毫。二人有顛狂之名,亦皆留肚痛帖。桶脫即桶底脫,佛家語,禪家以之喻悟脱之境。

 

김정희

 

"시골에서 지내며 병이 심한데, 오직 유(학영)군 자네만 찾아와 병세를 살펴주네. 자네의 처방이 바로 효과가 있어. 자네의 뜻이 가상해서 이것을 써서 드리고, 아울러 의사인 부친에게도 문안을 부탁하네."  네 수의 둘째

 

정신나간 장욱도 미친 회소도

         모두 복통을 앓았지만

천 년 서예 배울 만한 법첩을 남겼고

         특히 초서체가 달리는 듯하지

요즈음 밑 빠진 독 채우듯

         새로운 의미를 찾고 있지만

하찮은 모든 갈래를 끊어내는 건

         자네가 훨씬 잘하는 것 같네

 

         주: 첫 구절은 당나라 때 서예가 장욱(張旭, 675?-750?)과 회소(懷素,725-785)의 이야기를 씁니다. 둘 모두 초서를 잘 썼다고 합니다. 장욱은 술에 취한 후 머리털을 묵에 적셔 글씨를 쓰기도 했다고 전합니다. 두 사람 모두 미치광이라는 명성이 있었고, 모두 복통을 앓고 있으면서 썼다는 두통첩(肚痛帖)을 남겼습니다. 세째 구절의 통탈(桶脫)은 밑이 빠진 통이라는 통저탈(桶底脫)입니다. 선가에서 깨달음의 경지에 대한 비유로 사용됩니다.

(반빈 역)

 

Kim Chong-hui

 

"Staying in a remote countryside, I suffer from serious infirmities.  Only Mr. Yu comes to inquire after my illness.  His prescriptions have immediate effects.  I write this to express my gratitude to him, and ask him to relay my best regards to his father, also a physician." Second of Four Poems

 

Zhang Xu, the crazy, and Huaisu, the mad,

            Both suffered from stomach ache,

But left works to be emulated for thousand years,

            Especially in cursive style.

Recently, I have been searching for new meanings

            As if trying to fill a bottomless keg,

The one much better

            In severing all side streams is you.

 

            Notes: The first line refers to two Tang Dynasty calligraphers, Zhang Xu (張旭, 675?-750?) and Huaisu (懷素, 725-785), both renowned for their cursive styles. Zhang Xu is known to have used his hair for writing when he was drunk.  Both had the reputation of being madmen, and left works written suffering from stomach ache. The bottomless keg in Line #3 is a metaphor used in Chan meditation for enlightenment.

(H. Rhew, 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