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逌根
〈次前(齒落次韓文公韻)韻〉
凡人有氣血,軀命不係齒。
縱然盡脫落,脫落即而已。
一落心雖驚,落盡亦應止。
上下無一存,在人何所耻。
但聞落齒者,常恐不遠死。
何苦問傍人,細檢于自己。
念昔少壯日,氣旺如地水。
其白如貝編,其密如櫛比。
入口無堅物,銛利劒鋒似。
固者搖而動,動甚又落矣。
人今見此狀,問君幾年紀。
春秋閲半百,從又屈四指。
交關闕支錯,輔車失憑恃。
昔我幼哺乳,何曾賴於爾。
窮則反其本,老猶孩提視。
既絕口腹累,有無何憂喜。
因此竟辟穀,延年豈不美。
須看漢律令,皆出張蒼子。
注:張蒼(前252或更早-前152),仕秦為御史,秦末從劉邦,因軍務有罪,被判斬首。由王陵向劉邦請求,獲赦。文帝時任丞相。明於律曆,老年無齒,僅飲乳,妻妾以百數,享百歲有餘。
김유근
"빠진 이에 대해 다시 한 번 한유(韓愈, 768-824)의 운을 따라 씁니다"
무릇 사람들은 기운 있고 피가 돌아
몸뚱이 목숨이 치아에 안 매이지
설사 모조리 다 빠져 떨어져도
빠져 떨어지면 그 뿐인 것 아닌가
처음 하나 빠질 때는 마음이 놀라지만
다 빠지고 난 후에는 더 빠질 게 없지않나
위아래로 남은 이 하나도 없다 해도
사람 노릇 하는데 창피할 게 무엇인가
오직 하나 듣기에 이빨 빠진 사람들은
죽을 날이 멀지 않다 두려워 한다지
무엇 하러 애써서 옆 사람에 묻는가
자기 자신 찬찬히 살펴보면 될 것인데
옛날 옛적 젊어서 건장했던 시절에는
지하수 흐르듯 기운 넘쳐 흘렀었지
새하얀 이빨은 조개껍질 엮은 듯
조밀한 치아는 빗살을 세운 듯
입으로 들어온 건 딱딱해도 괜찮았고
날카롭고 예리해서 잘 간 칼날 같았어
든든했던 이빨이 움직움직 흔들리니
심하게 흔들리면 또 다시 빠지겠지
이제는 사람들이 이런 모습 보고서
그대는 금년연세 몇이시냐 묻곤 해
봄과 가을이 반 백 번씩 지나갔고
거기에 손가락을 네 번이나 더 꼽았지
열고 닫는 입안에 괴고 받칠 것이 없고
광대뼈와 턱 사이에 기댈 걸 잃었구나
옛날 옛적 어려서 젖을 빨던 시절에는
언제 한 번 그것들에 의지한 적 있었나
가다가 막히면 본래로 돌아가듯
늙은 후엔 어린 아이 보는 듯 해야 하지
입과 배에 주는 고생 일찌감치 끊었는데
어찌 있어 즐겁고 없다고 걱정하나
이러한 이유로 결국 곡식 끊고 나서
오래오래 더 살면 어찌 좋지 않겠는가
반드시 알아둘 건 한나라의 율령을
모두 다 장창이 만들었단 사실이네
주: 마지막 행의 장창(張蒼, 기원전 252이전-152)은 한나라에서 승상을 지낸 사람입니다. 진나라에서 벼슬을 시작했으나 진나라 말에 유방을 따랐습니다. 군사작전의 실패로 참수형을 선고받았으나 왕릉(王陵)이 유방에게 호소해 사면을 받았습니다. 한나라 문제 때 승상의 직위에 올랐습니다, 율려와 역법에 밝았는데 노년에 치아가 없어 오직 사람의 젖만 마셨다고 합니다. 처와 첩이 몇 백 명이었고, 백 세를 넘게 살았다고 합니다.
(반빈 역)
Kim Yu-gun
"Following the Rhyme Scheme of an Earlier Poem (on Loosing a Tooth in Han Yu's Rhyme"
People, on the whole, have breath and blood,
And the life of their body is not bound to teeth.
Even if all the teeth are to shake and to fall,
Let them shake and fall. That's all.
The first one to lose would surely frighten us,
But the falling will stop when all have fallen.
Even if not a single tooth remains,
What is there to be embarrassed as a human being?
I do hear that people who lose teeth
Often dread the death not far away.
Why take the trouble of asking others?
A meticulous examination of the self will suffice.
I remember long ago when I was young and robust,
The vigorous vitality was flowing like underground water.
As white as cowries woven together;
As closely placed as the teeth of a comb.
Nothing was too solid when they entered in the mouth.
Sharp and keen, they compared with the edge of a sword.
The ones once solid are rocking and shaking now.
Shaking severely, they will ultimately fall.
People see me like this,
Ask me how old I am.
Springs and autumns I have seen reached half of a hundred,
And I folded four more fingers to count them all.
Opening and closing of the mouth lack prodding poles.
Between the cheek and jaw bones, there's nothing to rely on.
Long ago, when I was breastfed in my infancy,
Did I ever rely on the teeth?
When we run into a dead end, we return to where we had begun.
After getting old, we should be looked at as children.
Now that whatever wears out the mouth and the belly is cut off,
Why should having and not-having determine worries and joys?
In this way, leaving off even the grain all together,
Extends the life by years. Would that not be beautiful?
We must note that all the laws and decrees of the Han Dynasty
Were produced by Master Zhang Cang.
Note: Zhang Cang (張蒼, before 252-152 BCE) in the last line was a historical figure who rose to the position of the prime minister in the Han dynasty. His official career began in the court of the Qin, but began to follow Liu Bang (劉邦, 256?-195 BCE) toward the end of the Qin dynasty. He survived the penalty of decapitation thanks to Wang Ling's (王陵) plea to Liu Bang. He became the prime minister in the court of Emperor Wendi. He was very knowledgeable in laws, decrees, and the calendrical system. Due to the lack of teeth, he only had human milk. His wives and concubines were counted by the hundred, and he lived more than a hundred years.
(H. Rhew, tr.)
'한국 한시선(韓國漢詩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희,"황산 김유근 시의 운을 차례로 따라서" 두 수 중 첫째 (0) | 2023.03.21 |
---|---|
김유근,"부모님 잠드신 효천에서 밤에 짓습니다" (2) | 2023.03.19 |
정약용,"가을 바람 여덟 수: 두보의 운을 따라" 여덟째 (0) | 2023.03.11 |
김유근,"술의 힘" (2) | 2023.03.09 |
김정희,"북린의 '장마를 한탄함'의 운을 따라서"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