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正喜
〈紫霞自象山歸,稛載而來,皆石也。戲呈一詩〉
先生為宰日,愛石劇愛錢。
礌磈巑岏者,簿書並夤緣。
余方有公事,九日紗羅川。
及其歸去來,惟石載之前。
家人不知石,迎門喜色溢。
謂是千黃金,詎知一頑物。
南山與北山,似此盡一一。
遠塗但載來,竟何衣食出。
先生且安坐,摩挲老苔衣。
坡公之九華,米老於無為。
數載象山政,治理實在茲。
視民同視石,既惠而既慈。
自憐忝石交,對石屢發歎。
公心似石堅,石渝心不漫。
書畫夢詩髓,豈止證公案。
我持此石歸,馬圖慙韓幹。
自注:石凡三,余得其一,遂以此詩為石卷。
注:首句宰,《阮堂先生全集》作在,此不取。
김정희
"자하(신위)가 상산에서 돌아오는 길에 수레 가득 싣고 온 것이 모두 돌입니다. 그래서 장난 삼아 시 한 수를 지어 올립니다."
선생이 고을 수령으로 재직하던 시절
돌을 돈보다 훨씬 아꼈습니다
울퉁불퉁한 커다란 돌이 나란히 늘어서서
공문 장부와 앞을 다투었다고 하지요
언젠가 공무가 있다면서
아흐레 동안 사라천에 머무셨는데
돌아올 때가 되니
돌만 가득 실은 수레를 이끌고 오셨답니다
식구들은 돌인지 모르고
문에서 마중하며 기쁨에 넘쳤습니다
그게 모두 천 냥의 황금이라 했으니
어처구니없는 건지 어찌 알았겠습니까
남쪽 산에나 북쪽 산에나
이런 것들은 널렸어요
먼 길을 이것만 싣고 왔으니 도대체
거기서 옷이 나옵니까 밥이 나옵니까
그런데 선생은 마음 편하게 앉아
애지중지 오래된 이끼를 쓰다듬었답니다
소동파공이 구화석을 보며 그랬듯이
미불노인이 무위마을에서 그런 것처럼
몇 년 동안 상산고을을 다스린
이치가 실제로 거기 있었습니다
사람 보기를 돌 보듯 한 것이지요
은혜였고 자비였습니다
그 굳은 친교가 분에 넘쳐 나 자신이 송구스럽습니다
그래서 돌을 대할 때마다 한숨을 쉽니다
자하공은 마음이 돌처럼 단단해요
돌은 변해도 그 마음은 흐트러지지 않을 겁니다
글씨에서도 그림에서도 모두 시의 진수를 꿈꾸시니
어찌 돌만으로 공이 이루시는 걸 다 이야기하나요
나 이제 이 돌을 가지고 돌아가지만
벌써 말 그림을 그려 한간화백에게 보이는 게 두렵습니다
시인 주: 돌 셋 중 하나를 내가 얻었습니다. 그래서 이 시로 시집의 돌(石) 부분을 삼습니다.
주: 이 시의 세 부분에 상용된 전거를 소개합니다. 19행의 구화(九華)는 소동파(蘇軾, 1037-1101)가 아낀 특별한 돌을 말합니다. 소동파는 "술병 속의 구화(壺中九華詩並引)"라는 작품의 서문(引)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호구사람 이정신이 기이한 돌로 봉우리 아홉 개를 쌓아 올렸는데, 섬세하면서 부드러운 것이 잘 꾸민 창문 같았습니다. 금 백 냥을 주고 사서 구지석과 짝을 지어주려 했는데 남쪽으로 이사하면서 겨를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술병 속의 구화라고 이름을 짓고. 시를 지어 기록합니다. (湖口人李正臣蓄異石九峰,玲瓏宛轉,若窗櫺然。予欲以百金買之,與仇池石為偶,方南遷未暇也。名之曰壺中九華,且以詩紀之。)"
20행은 송나라의 문인 미불(米芾,1051-1107)의 이야기를 이용합니다. 돌을 좋아했는데, 무위군의 지사로 임명되었을 때 세워둔 돌을 보고 기이하게 여겨 예를 갖추어 절하며 돌스승(石丈)이라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합니다.
마지막 행은 당나라 한간(韓幹, ca. 706-783)의 이야기를 이용하는데, 그는 말을 잘 그리기로 이름이 있었습니다.
(반빈 역)
Kim Chong-hui
"On his way back from Sang-san, Chaha (SHIN Wi) came with carts loaded with nothing but rocks. I jestingly present a poem to him."
During his days as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The master valued rocks much more than money.
Huge, jagged rocks lined up before him,
Competing with document ledgers for his attention.
Once he went to Silk Sand Brook on an official duty
And stayed there for nine days.
When he returned,
He led carts loaded only with rocks.
His family, without knowing that those were all rocks,
Welcomed him at the gate, overjoyed.
Having heard that they're worthy of thousand gold pieces,
How would they know they're just farcical stuff?
"On the mountains in the south or in the north,
These are everywhere.
You come a long way carrying just these.
Do they produce clothes or food?"
The master, nonetheless, sat peacefully,
Doting on the rocks, caressing the old moss on them,
Like Master Dongpo before the Jiuhua rocks;
As Old Mi Fu in the Wuwei village.
The principle of his work in several years
As the head of a village was right there:
Seeing the people as he sees the rocks,
Graceful and benevolent.
I am overwhelmed by his friendship, solid as rocks.
I sigh every time I see the rocks.
The heart of Master Chaha is solid as rocks.
Perhaps, his heart won't disperse even if rocks might change.
In calligraphy and painting, he dreams the essence of poetry.
How could rocks alone fully account for his achievements?
Now I am going back with this rock,
Already afraid of painting horses to show the artist, Han Gan.
Poet's note: I received one of the three rocks. Thus, I composed this poems to make the "rock" chapter of my poetry collection.
Note: The use of three allusions might be useful for reading this poem. "Jiuhua rocks" in Line #19, refers to special rocks Su Shi (蘇軾, 1037-1101) cherished. He composed a poem titled, "Nine Splendors in a Wine Jar, with an Introduction (壺中九華詩並引)." Line #20 alludes to a story of Mi Fu (米芾, 1051-1107), who, when he was appointed the director of Wuwei prefecture, paid respect to a rock, addressing it, "Teacher Rock (石丈)." The last line alludes to Han Gan (韓幹, ca. 706-783) of Tang, who was known for painting horses.
(H. Rhew, tr.)
'한국 한시선(韓國漢詩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약용,"가을 바람 여덟 수: 두보의 운을 따라" 일곱째 (1) | 2023.03.04 |
---|---|
김유근, "매화 두 수"의 첫째 (0) | 2023.03.03 |
정약용,"가을 바람 여덟 수: 두보의 운을 따라" 여섯째 (0) | 2023.02.28 |
김유근,"이가 빠져서 한유(韓愈, 768-824)의 운을 따라 씁니다" (0) | 2023.02.25 |
김유근,"매화를 보며"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