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한시선(韓國漢詩選)

이규보,"즉흥으로 씁니다 卽事"

반빈(半賓) 2024. 1. 16. 07:20

李奎報(號白雲,1168-1241)

 

〈卽事〉

 

靜戶風開幔,明䆫日弄塵。

屋烏啼孝子,簷鷰舞佳人。

 

               注:三句用烏鴉孝順之說。烏鴉為孝順之象徵,似乎基於兩點觀察。其音哀,一也。白居易〈慈烏夜啼〉有如下數句:「慈烏失其母,啞啞吐哀音,畫夜不飛去,經年守故林。」母老反哺,二也。白詩繼而曰:「夜夜夜半啼,聞者為沾襟;聲中如告訴,未盡反哺心。」因而稱烏為「鳥中之曾參」。至於反哺,《本草綱目》曰:「此鳥初生,母哺六十日,長則反哺六十日,可謂慈孝矣。」四句用趙飛燕事。飛燕,西漢成帝后,以能歌善舞之美貌著稱,代表輕盈之美,傳說甚至稱輕至能掌上舞。

 

이규보 (호, 백운, 1168-1241)

 

"즉흥으로 씁니다"

 

조용한 문 장막을 바람이 걷어 젖히고

밝은 창 티끌을 햇빛이 드러냅니다

 

지붕의 까마귀가 효자를 울리고

처마 끝 제비는 아름다운 사람이 춤추게 합니다

 

           주: 세째 구절은 까마귀가 효심이 깊다는 이야기를 이용합니다. 까마귀가 효심의 상징이라는 생각은 대체로 두 가지의 관찰에 기초한 것으로 보입니다. 울음 소리가 슬프다는 것이 그 첫째입니다.  백거이(772-846)의 "까마귀가 밤에 웁니다 慈烏夜啼"에 다음과 같은 몇 구절이 들어있습니다. "까마귀가 어미를 잃고/까악까악 슬픈 소리를 토해냅니다./밤낮 할 것 없이 날아가지 않고/한 해 내내 수풀을 지킵니다."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것이 둘째입니다.  백거이의 시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노래합니다. "밤마다 한 밤중에 울어/듣는 사람들의 옷깃을 적십니다./그 소리로 일러 하는 말은/어미에게 먹이를 갚아드리고 싶은 마음을 다하지 못했다." 그래서 까마귀가 "새 중의 증삼"이라고 말합니다. 까마귀가 어미에게 먹이를 갚아드린다는 이야기는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이 새가 처음 태어났을 때 어미가 육십 일을 먹이고, 자란 후 육십 일 먹이를 어미에게 갚으니 효성이 지극하다 할 수 있다."  네째 구절은 한나라 성제 때의 황후였던 조비연의 이야기를 사용합니다.  조비연은 노래와 춤에 능한 미모로, 가녀린 아름다음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심지어 매우 가벼워 손바닥 위에서 춤을 출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합니다.

(반빈 역)

 

"Yi Kyu-bo (1168-1241)

 

"Writing Instantaneously"

 

Wind pushes open the screen of a quiet door;

Sunlight dallies with the dust on a bright window.

 

A crow on the roof makes the filial child cry;

A swallow by the eaves lets the beautiful one cavort.

 

               Note: Line #3 uses the idea that crows practice filiality, which seems to be based on two observations: First, the sorrowful sound of their cry.  "Crows Crying at Night" by Bai Juyi (772-846) includes the following lines: "Losing their mother, /Crows spit out the sorrowful coos and caws. /They do not fly away day or night, /And remain in the forest all year long." Second, paying back by feeding their mother at old age.  Bai Juyi's poem continues: "Crying in the middle of the night, night after night, /They make those who hear wet their bosom. /The sound seems to say, /Their wishes to feed their mother have not been exhausted."  Therefore, the poet concludes that crows are "the Zeng Shen (505-435 BCE) of birds." As for feeding in return, the Bencao gangmu says, "When this bird is born, the mother feeds it for sixty days.  After growing up, they return the care by feeding the mother for sixty days.  This can be called the gentle care of filiality." Line #4 alludes to the story of Zhao Feiyan, literally "flying swallow," who was the consort of Emperor Chengdi of Western Han. She was known for singing and dancing, representing the slender and graceful of beauty.  Legends have it that she was so light that she could dance on a palm.

(H. Rhew, 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