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한시선(韓國漢詩選)

김정희,"황산 김유근 시의 운을 차례로 따라서" 두 수 중 둘째

반빈(半賓) 2023. 3. 22. 11:17

金正喜

 

〈次黃山韻〉二首之二

 

芳辰對酒每咨嗟,

難把酒錢歲月賖。

愧我填腸同麥飯,

如君稀世是菖花。

蠅蚊應少拈茶處,

蜂蝶爭喧嫁棗家。

滿眼石榴開似火,

門前轢轢到詩車。

 

            注:酒字重。第四句菖花,即菖蒲花,象徵富貴。梁張文獻皇后見庭前菖蒲生花,因嘗聞見之者富貴,遽取吞之,是月產高祖,即梁武帝。第六句嫁棗指冬季用斧背捶打棗樹基部,以促進開花,提高座果。

(酒字重)

 

김정희

 

"황산 김유근 시의 운을 차례로 따라서" 두 수 중 둘째

 

꽃피는 좋은 시절이라

         술을 마주할 때마다 한숨부터 나옵니다

늘 마셔야 하는데 날이면 날마다

         술값을 외상으로 할 수는 없으니까요

 

나는 부끄럽게도 창자를 채우는

         보리밥 같은데;

그대는 세상에 드문

         귀한 창포 꽃인 게 분명합니다

 

파리와 모기가 적은 건

         찻잎 따는 언덕;

벌과 나비가 서로 다투 듯 떠들썩한 건

         대추나무를 시집 보낸 집이겠지요

 

눈을 가득 채우는 석류꽃은

         불 붙는 듯 빨갛게 피고

문 앞으로 덜커덩덜커덩

         시 전달하러 수레가 도착합니다

 

         주: 네째 구절의 창화菖花는 창포菖蒲의 꽃으로 부귀를 상징한다고 합니다. 양나라 문헌황후 장씨가 정원에 핀 창포의 꽃을 보았는데, 남들이 보지 못한 창포 꽃이 부귀를 뜻한다는 말을 듣고 바로 따서 삼킨 후 바로 그 달에 양나라 고조, 즉 양무제를 낳았다는 이야기가 전합니다.  여섯째 구절의 "대추나무를 시집보낸다"는 말은 겨울에 대추를 두드리는 습속을 말합니다.  그렇게 두드리면 꽃이 잘 피고 과실을 잘 맺는다고 합니다.

(반빈 역)     

 

Kim Chong-hui

 

"Following the Rhyming of Hwangsan Kim Yu-gun in Exact Sequence": Second of Two Poems

 

For it's a good season of many flowers

            I cannot help sighing every time I face the wine.

I cannot put them

            On my tab day after day.

 

It is a shame that I am like

            The steamed barley that fills my belly;

You certainly are

            A rarity in this world like the iris.

 

Few flies and mosquitos gather

            On the hills where tea leaves are picked;

Bees and butterflies hubbub as if in competition

            Mostly in the houses that "married off" jujube trees.

 

Pomegranate flowers fill the eyes,

            Blooming in burning red,

And to the front gate arrives

            A squeaky cart to deliver poems.

 

            Note: The iris in Line #4 is a symbol of wealth and nobility. Empress Wenxian of Liang is said to have swallowed an iris flower for it was never seen by anyone else before, and gave birth to Emperor Wu of Liang in the same month.  "Marrying off" the jujube tree in Line #6 refers to the custom of beating the trunk of the trees in the winter, which was believed to help produce more flowers and fruits.

(H. Rhew, 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