許麒(號湖隱,14世紀)
〈章山見志〉
退野思王蠋,
登山愧伯夷。
澤蘭愁楚色,
墟麥愴殷詞。
注:章山為詩人家鄉,今韓國慶尚南道固城郡馬岩面章山里。王蠋,戰國時齊國退隱大夫。燕攻破臨淄,齊愍王逃奔莒州。燕禮請王蠋,王蠋拒絕,遂自盡。末句〈殷詞〉指〈麥秀歌〉,相傳箕子目睹殷朝宮室毀壞,長野麥,有感而作。
허기 (호는 호은, 14세기)
"고향 장산에서 뜻을 내보입니다"
초야로 물러나 제나라 대부 왕촉을 생각하고
산에 올라서면 수양산의 백이에게 부끄럽습니다
물가의 난초를 보면 초나라 모습이 근심스럽고
폐허에 무성한 보리를 보며 은나라 노래를 슬퍼합니다
주: 장산은 지금의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장산리로 시인의 고향입니다. 허씨의 고가가 있고, 시인이 조성했다는 숲이 조금 남아 있습니다. 이 작품은 네 행이 각각 하나의 전고를 사용합니다. 첫 구절의 왕촉은 전국시대 제나라의 대부로 물러나 은거했습니다. 연나라의 공격으로 민왕이 난을 피해 거주로 가고 연나라가 왕촉을 예를 다해 모시려 했으나 거절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습니다. 둘째 행은 은나라 말기 고죽국의 왕자였던 백이의 이야기를 사용합니다. 주나라가 다스리는 세상을 거절하고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먹으며 연명하다 굶어 죽었다고 합니다. 세째 행은 모함을 받아 쫓겨나 떠돌다 죽은 굴원의 작품 이소 (離騷)를 사용합니다. 마지막 행은 은나라의 왕족으로 고조선으로 왔다고 전해지는 기자가 지었다고 알려진 "맥수가 (麥秀歌)"를 이용합니다. 기자는 잠시 주나라를 방문한 길에 은나라의 도읍지가 무너져 들보리가 자라는 것을 보고 탄식하며 썼다고 전해집니다.
(반빈 역)
Hō Ki (14th Century)
"Expressing Intent at Chang-san, My Home Town"
Having retired to backwoods, I remember grand master of Qi, Wang Zhu.
Climbing a mountain, I feel I let down Boyi.
Seeing orchid by the marsh, I agonize over the scenes of Chu.
Barley on the ruins makes me grieve over the song of Yin.
Notes: Chang-san is the native place of the poet, present Chang-san Village, in the Township of Ma-am, Ko-sōng County, Kyōng-sang Nam-do, Korea. This poem uses four allusions, one in each line. Wang Zhu in line #1 is a grand master of Qi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known for integrity and loyalty demonstrated by his suicide when courted by Yan which invaded Qi. The allusion in the second line is the well-known figure of Boyi, who went into the Shouyang mountain and starved to death, expressing his disapproval of Zhou, which overthrew Yin-Shang. Line #3 uses the story of Qu Yuan, an unjustly banished minister in the state of Chu. Line #4 alludes to "A Song of Barley Ears," attributed to Jizi, the legendary sage of Shang dynasty, who left Shang to express his opposition to the tyrant last ruler of Shang. The song is a lamentation at the ruins of Yin capital, where wild barley was growing.
(H. Rhew, tr.)
'한국 한시선(韓國漢詩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기,"나 스스로 마음을 일깨웁니다 自警" (0) | 2025.02.16 |
---|---|
허기,"목은 이색의 '국화꽃' 시에 운을 따라 화답합니다 次李牧隱穡黃花詩" (0) | 2025.02.15 |
허기,"공북루에서 임금과 신하가 함께 기뻐합니다 拱北樓君臣相悅" (0) | 2025.02.13 |
오장, 박민,"쌍계골짜기에서 서로 화답합니다 雙溪唱酬" (0) | 2025.02.10 |
성여신, 하징,"쌍계골짜기에서 서로 화답합니다 雙溪唱酬" (0) | 2025.02.08 |